기초교양 |
- 교육 및 평생교육을 위해 필요한 사고능력과 문해능력 등 기초학업능력 함양
- 대학생활에 적응하고 자신의 진로를 개발해나가기 위한 기초 능력 함양
|
공통필수 |
우리 대학 모든 학생의 기초역량과 대학 생활 적응 능력 함양
- 국어와 외국어 등 언어 중심의 전통적인 문해교육 관련 교과 편성
- 디지털 사회가 요구하는 보편적 디지털리터러시 관련 교과 편성
- 대학 적응 및 진로탐색 관련 교과 편성
|
계열필수 |
계열별 특성을 고려한 디지털 문해능력과 기초수리 능력 함양
- 단과대학 특성을 반영한 정보문해교육 및 수리능력 관련 교과 편성
|
역량교양 |
- 실천하고, 탐구하고,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공동체와 더불어 소통하는 능력 함양
= 대학 핵심역량(실천, 탐구, 공동체)의 집중 개발
|
실천(동) |
목표를 세우고 달성하기 위해 자기 자신을 이해하고 성찰하며 그 결과를 말과 글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 함양
- 심화된 읽고 쓰기, 듣고 말하기 관련 교과 편성
- 심화된 진로탐색 관련 교과 편성
|
탐구(명) |
디지털 기술을 이해하고 활용하여 현상을 분석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 함양
- SW‧AI 기술뿐 아니라 윤리 등을 포함한 심화된 디지털리터러시 관련 교과 편성
|
공동체(인) |
다양성을 존중하고 외국인과 협력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능력 함양
- 중급 이상의 영어, 중국어, 일본어, 베트남어 등 외국어 관련 교과 편성
|
심화교양 |
- 인간, 사회, 자연에 대한 이해와 개인 및 공동체의 삶과 사회에 대한 식견을 넓히고 통합하는 능력 함양
|
인간과문학 |
인간의 본성과 조건, 인간의 삶이 지향하는 이상·의미·가치의 안목 형성
|
사회와세계 |
사회와 공동체의 특성에 대한 안목 형성
- 사회과학 및 문화인류학(다문화 포함) 관련 교과 편성
|
과학과기술 |
인간 삶의 토대가 되는 자연과 기술에 대한 안목 형성
- 자연과학, 공학, 정보통신기술 관련 교과 편성
|
사고와융합 |
인간, 사회, 과학, 기술에 대한 이해를 종합‧통합하는 통찰력 함양
- 학문 간 융합교과, 사고 훈련, 문제해결 프로젝트 관련 교과 편성
|
도전과개발 |
자신을 이해하고 한계에 도전하며 미래를 개척해갈 수 있는 능력 함양
|
실용과실무 |
직업 세계에서의 적응을 위한 기초능력 함양
- 자격증 강좌, 창업강좌(LINC3.0 관련) 등 실용성을 가진 교과 편성
|